728x90
반응형

 

 

[산업위생관리기사] 실기 합격 후기(직장인 2~3주 공부 전략)

 

지난번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를 합격한 후 바로 실기시험을 봤습니다. 비록 후기가 좀 늦었지만 한 번에 합격을 했었습니다. 점수 캡처해놨던 게 사라져서 점수를 보여드릴 수 없지만 61점으로 간신히 통과하였습니다. 61점도 통과는 통과니까 합격을 하고 기사 자격증을 획득했습니다. 이에 공부했던 합격 전략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선 필기시험을 합격했던 지난 글입니다.

2022.09.16 - [일상 이것저것/공부] -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합격 후기 (직장인 5주 공부 전략)

 

 

저는 필기시험과 같이 실기시험도 인터넷 강의로 실시했습니다. 직장인들은 시간이 없으니 기댈 곳이 인터넷 강의뿐입니다. 지난번과 동일하게 "물쌤닷컴(https://www.moolssem.com/)의 최고야 강사님" 강의를 이어서 신청했습니다. 

 

이번의 실기 전략은 짧게 집중해서 하자는 게 주요 전략이었습니다. 그래서 정말 단기간에 완료하기로 했습니다. 직장인은 언제 야근할지 모르고, 회식도 있고 하다 보니 매일매일 공부하기란 쉽지 않기에 빠른 시간 내에 완료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였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계획을 세웠습니다.(지켜지기에는 당연히 어렵겠죠....)

 

시험 3주 전: 이론 강의 듣기 완료(약 23~24시간 강의를 2배속으로 시청)

시험 2주 전: 이론 정리 및 기출 풀기

시험 1주 전: 기출 풀기

 

이렇게 계획을 세웠습니다.

 

기출은 최근 기출부터 풀기 시작했고, 우선 각 년도의 1회씩만 풀었습니다. 그리고 5년 치를 푼 다음엔 랜덤으로 풀었습니다. 

 

 

반응형

 

 

저는 이론 암기보다는 계산문제에 자신이 있었기에 계산문제는 무조건 다 맞자는 생각으로 계산문제에 조금 더 신경을 써서 풀었습니다. (강의에서 문제풀이 : 암기 풀이 가 5:5의 비율로 나온다고 했었습니다.) 계산 풀이 문제는 다 맞고 암기에서 몇 개만 더 맞으면 된다는 생각에 문제풀이에 좀 더 신경을 썼었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니 기출 3~4회쯤 풀 때부터 합격 점수를 넘기 시작해서 계속해서 합격 점수가 넘게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60~65 정도로 넘다가 이후 70점이 계속해서 넘어가는 시점이 나오자 조금 안도감이 생겼습니다. 

 

그렇게 실기시험을 보았고, 처음 당황을 한 것이 말과 다르게 계산문제의 비율이 낮았습니다. 절반 이하로 나와서 당황을 했습니다. 알고 보니 계산문제 비율이 낮아지는 게 최근 경향인 거 같았습니다. 

 

그렇게 문제를 풀고 풀고 검토까지 하고 제출한 다음 퇴실을 하였습니다. (신분증을 두고 오는 바람에 다시 학교에 가야 하는 불상사가 있긴 했습니다 ㅠㅠ)

 

나와서 가채점을 해보니 운이 좋으면 넘고 아니면 못 넘겠다 라는 생각을 하면서 결과를 확인했고 운이 좋았는지 61점으로 통과하게 됐습니다.

 

저의 직장인 기사 자격증 합격 팁은 1. 인터넷 강의2. 짧은 시간에 고도의 집중3. 문제에 나올 것 만을 위주로 공부

 

입니다. 직장인 분들은 시간이 없다 보니 공부하기가 어려우실 겁니다. 하지만 이렇게 딸 수 있으니 모두 조금만 더 노력해서 자격증 하나 더 획득해서 자기 계발하고 만약에 이직/진급하신다면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https://link.coupang.com/a/IasrE

 

(미교원) 2023 물쌤닷컴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기사 필기 최고야

COUPANG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IasGW

 

유니오니아시아 2023 물쌤닷컴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기사 실기 + 기출해설 미교원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띠룡

,
728x90
반응형

 

 

[사무실 관리] 사무실 실내공기질 관리 (안전보건공단)

 

실내공기질 관리는 아래와 같이 국가에서 법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1. 다중이용시설의 경우에는 "실내공기질 관리법"

2. 학교의 경우에는 "학교보건법" 

3. 사무실은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된 고시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을 보시면 정확히 사무실 공기질 관리 지침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82%AC%EB%AC%B4%EC%8B%A4%20%EA%B3%B5%EA%B8%B0%EA%B4%80%EB%A6%AC%20%EC%A7%80%EC%B9%A8

 

http://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82%AC%EB%AC%B4%EC%8B%A4%20%EA%B3%B5%EA%B8%B0%EA%B4%80%EB%A6%AC%20%EC%A7%80%EC%B9%A8

 

www.law.go.kr

 

각 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른 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으며, 기준은 항목, 수치 등 일부 차이가 있지만 각 시설의 특성에 따른 기준의 차이입니다. 각 시설의 특성에 따라 실내에 활동하는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위험, 유해 등을 고려하여 설립한 기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사무실에 대한 실내공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사무실은 고용노동부 관리 하에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기관은 안전보건공단입니다. 따라서 안전보건공단에서 실내공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습니다.

 

 

사무실 실내환경 항목은 물리적 인자 (온·습도, 소음·진동, 조명 등), 생물학적 인자 (부유세균, 진균, 곰팡이, 포자 등 바이오 에어로졸), 화학적 인자 (각종 무기기, 건축자재, 개인 활동 등에 의한 화학물질) 등이 있으며, 오염물질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뿐 아니라 건물증후군(SBS, sick building syndromes), 화학물질 과민증(MCS,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과 같이 사무실을 벗어나면 나아지는 증상에 대한 근로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무실 내 실내공기질과 관련이 깊은 것은 산업재해입니다. 공기오염은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이에 따라 관리를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무실 실내공기질 오염 또는 악화로 인한 재해를 구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무실과 사무직은 정확히 어떻게 정의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란 사무실에서 서무·인사·경리·판매·설계 등 사무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9조 제1항).
 - 사무실이란 근로자가 사무를 처리하는 실내 공간(휴게실·강당·회의실 등의 공간을 포함한다)을 말한다(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646조).

 

위의 정의에 따른 사무실은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 따라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관리합니다.

(가이드라인의 경우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43호'이고, 위의 표는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45호'로 위의 표가 최신 버전입니다.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무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정확하게는 가이드라인에 발생원과 오염물질, 건강피해 등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으며, 간단히는 아래의 그림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실내공기질 분석방법과 시기, 횟수 등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45호)

 

사무실 실내공기질 개선 및 쾌적한 환경을 위해서는 아래의 항목이 필요합니다.

 1. 사무실이라는 특성상 역시 관리책임자가 필요합니다.

 2. 관리책임자 아래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행동지침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리고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접근 방향을 3가지로 제시합니다.

 1. 건물에서 직접 제거하거나 물리적 차단, 공기압 이용, 또는 사용기간 조정 등을 통해 오염원을 격리하는 등의 오염원 관리.
 2. 오염물질을 희석시켜 환기장치를 통해 건물 밖으로 내보냄.
 3. 필터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깨끗하게 함.

 

 

그럼 중요한 관리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무실 관리책임자>

1. 공기정화설비 관리 (배기구 위치, 필터관리, 악취관리, 공기정화설비 청소 등)

2. 사무실 공기관리와 작업 기준 준수 (공기 측정/평가, 오염 방지를 위한 조치, 오염물질 발생억제 등)

3. 공기정화설비 등의 개보수 시 조치

4. 온습도 유지

5. 금연정책 수립

6. 기타 (점검 등)

 

<근로자 (사무실 상 주자)>

1. 공기정화설비 등의 정상작동 확인

2. 금연정책 준수

3. 급수 설비 등의 청결 유지

4. 쓰레기 적정 처리

5. 미세먼지 발생 억제

6. 음식물 보관 및 적정처리

7. 관리책임자와의 의사소통

 

위 관리 방안은 간단히 작성하였으며, 자세한 사항은 아래 가이드라인을 보시면 더욱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사무실 관리책임자는 꼭 숙지하시고, 다른 근로자들도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침을 따라야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사무실 실내는 우리가 하루의 많은 부분을 생활하는 공간입니다. 모두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http://kosha.or.kr/kosha/data/business/occuHealthBusinessData.do?mode=view&articleNo=241354&article.offset=0&articleLimit=10&srSearchVal=%EC%8B%A4%EB%82%B4&srSearchKey=article_titl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사업자료 | 직업건강 게시판읽기((팜플렛)2017년 직업건강가��

 

kosha.or.kr

 

728x90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띠룡

,